Web Dev/View 2

[View] React 공부해보기

React를 실행해보면서 느끼고 이해한 점을 주저리 나열하여 정리해보았습니다. JSX에서 만드는 함수는 return 문에서 HTML 태그처럼 사용되어 위치가 반환된다. JSX는 HTML 태그를 바로 사용할 수 있으며 {} 내부에 javascript 변수를 넣어 사용할 수 있다. react는 state의 변화가 일어나면 전체적으로 렌더링이 다시 된다. 이와 달리 JQuery와 같은 라이브러리는 화면의 어떤 값을 변경할 때 DOM의 정보를 바꾸는 식으로 처리된다. const [변수, 함수] = useState(초기값); 함수를 통해 변수를 변경하며 변수는 `const` 상수이므로 `++`, `--`와 같은 증감연산자를 사용할 수 없다. 이를 통해 react는 실제 값이 변경되는 것이 아니라 화면단에서만 값..

Web Dev/View 2023.04.14

[WEB] Thymeleaf 정리 노트

Thymeleaf 정리 기존에는 뷰 템플릿으로 JSP를 주로 사용해보았기에 Thymeleaf를 거의 처음 사용하기에 새롭게 겪은 기능들에 대해서 간단하게 정리해보려고 한다. Layout thymeleaf에서 layout을 관리하는 방법은 크게 include 방식과 계층형 방식이 있다. 다음은 include 방식의 예시이다. jsp `include 액션 태그`처럼 thymleaf에서는 `th:replace`를 통해서 HTML fragment를 관리할 수 있다. --- [2] --- [3] include 방식은 사실 무식한 방법이다. layout을 짜기위해 계속 코드를 작성해주어야 하기 때문이다. 실제 실무라면 계층형 방식이 좋겠지만 간단한 프로젝트에서 계층형 방식을 쓰려면 결국 세팅 과정이 들어가야 하므로..

Web Dev/View 2023.03.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