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123

URL에 쿼리 파라미터로 상태값을 저장해야하는가?

메모용 글입니다. 글 개요 지원하고자 하는 회사의 홈페이지를 구경하다 보니 기존 팀프로젝트에서 고민했던 프론트 라우터의 path가 이 곳에서는 어떻게 관리되고 있는지가 궁금하여 확인하던 도중 신기한 점이 있어 정리해보려고 한다.   생각했던 점마이페이지에서 아래 navbar를 클릭하여 이동하던 도중 url path가 궁금했기에 마이픽으로 클릭하여 이동함.  마이픽은 인가 처리가 되어야 확인할 수 있는 페이지였고, 첫 front path의 end point가 auth 였음. https://thisisdomain.com/auth/sign-in 그런데 이후 쿼리 파라미터로 다음과 같이 redirect와 preventGoBack 값을 받고 있는 것을 확인하게 됨. https://www.hemekolab.com/..

Web Dev 2024.05.10

[WIL] 2024-03-02.log

오늘 차분히 들을 노래를 선곡하다 우연히 보게된 썸네일 뭔가 뭉클해서 넣어보았다. 비관적 걱정보단 하루하루 열심히 살아가는게 내 멘탈적으로 도움이 되더라. 아래 댓글을 우연히 보았는데 다음과 같은 따뜻한 글이 있어 캡쳐했습니다. 우연히라도 저의 주차 회고를 보신분들도 오늘 하루 자신이 사랑하시는 일을 게을리 하지 않길.. 또한 행복하시길 바랍니다. 오랜만의 회고라 주저리 주저리 이야기를 풀어보려 합니다. 딱히 개발적인 이야기는 없습니다. 본격 회고 시작 이번주는 간만에 긴 최종 프로젝트를 시작하는 주이다. 6주간의 긴 레이스인데 벌써 1주가 훅 지났다는게 믿기지 않는다. 과거의 나는 이런 프로젝트를 할 때 시간이 많다고 생각했었지만, 아무래도 시야가 넓어진 덕인지 해야할 일이 많다고 느껴져서 살짝 부담으..

회고 2024.03.02

[용어 정리] Eviction Expiration Passivation

cache는 속도를 위해 대부분 memory를 사용 memory는 disk에 비해 사용 공간이 훨씬 적을 수 밖에 없음 Eviction - 공간이 필요할 때 어떤 데이터를 지워주는 것 - memory가 가득 차면 사용하지 않는 데이터를 지워줘야 새로 데이터가 들어올 수 있음 - 대부분 LRU(Least Recently Used : 가장 오랜 기간 참조되지 않은 데이터를 교체) 알고리즘 방식을 사용 Expiration - 데이터의 유통기한 - 일반적으로 TTL(Time To Live)이라는 단어를 사용 Passivation - 기능을 사용하면 eviction의 대상이 되는 데이터가 지워지기 전에 우선 디스크등 다른 스토리지에 저장 - 추후 같은 데이터에 대한 요청이 들어오면 파일에서 찾아 돌려줌

노트 정리 2024.03.01

[Docker] PostgreSQL 설치 실행

Ubuntu 환경에서 docker에 PostgreSQL을 올리는 간단한 글입니다. 설치 환경 및 PostgreSQL 버전 Ubuntu 22.04.2 LTS (GNU/Linux 5.15.0-78-generic x86_64) Docker - Client: Docker Engine - Community Version: 25.0.3 postgres:latest PostgreSQL 설치! docker run -d -p 5432:5432 -e POSTGRES_PASSWORD="" --name PostgreSQL01 postgres #Volumn 설정 docker run -p 5432:5432 --name PostgreSQL01 -e POSTGRES_PASSWORD=1111 -d -v postgresql_data:/..

Infra/Linux-Ubuntu 2024.02.27

[OS/Ubuntu22] Docker 환경 세팅

1. 우분투 시스템 패키지 업데이트 sudo apt-get update 2. 필요한 패키지 설치 sudo apt-get install apt-transport-https ca-certificates curl gnupg-agent software-properties-common 3. Docker의 공식 GPG키를 추가 curl -fsSL https://download.docker.com/linux/ubuntu/gpg | sudo apt-key add - -> 이 GPG키를 추가할 때 첫 Ubuntu를 세팅하고 진행한다면 다음과 같은 경고가 뜬다. Ubuntu 설치시 존재했던 키가 오래된 것이라 경고를 주는 듯하다. 아마 진행하는데는 문제 없으므로 진행하면된다. 4. Docker의 공식 apt 저장소를 추가..

Infra/Linux-Ubuntu 2024.02.26

[OS/Ubuntu22] 새 계정 생성하기

오늘은 Ubuntu의 새계정을 만드는 법을 정리해보려 한다. 새로운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기존 집에서 사용하는 서버에 모두가 접속할 수 있도록 세팅할 겸 새로운 계정을 생성하려는 목적이다. Root 계정 초기 비밀번호 설정 우분투 실행 후 root 계정의 비밀번호를 초기화하지 않았다면 최초에 설정할 수 있다. sudo passwd root root 계정 사용해보기 먼저 새 계정을 사용하기 위해 root 계정으로 넘어가려 한다. 명령어는 다음과 같다. su root or su - root 권한으로 실행하려면 sudo를 붙여 실행해도 되지만 root 계정으로 이동하여 세팅을 해주려한다. 위 명령어를 치면 사용자 암호를 입력하여 root로 들어갈 수 있다. 루트로 접속하게 되면 터미널에 $표시가 아니라 #으로..

Infra/Linux-Ubuntu 2024.02.25

[미니 프로젝트 회고] 이력썰 회고

이력썰 회고 지난 10일 정도(2024년 2월 14일 ~ 23일) 진행했던 이력썰 프로젝트 회고를 해보려 합니다. 기술적으로 재밌는 내용을 많이 공부하고 알 수 있게 되어 시야가 넓어졌던 한 주였습니다. 동시성 제어, Cache 등과 같은 이론적으로는 알고 있었지만 실제 코드와 기술을 통해 서비스에서 제대로 고민하며 구현해본 적은 없었기 때문에 재밌고 흥미로운 시간이었다. 팀원들과 서비스를 구현하며 고민해야 할 부분과 잘 해결되지 않는 부분들을 대화를 통해 해결해 나갔고, 다른 팀들과의 소통을 통해서도 기술적인 이해도를 높일 수 있는 시간이었다. 기존에도 Redis를 사용해보긴 했지만, SpinLock과 같은 개념에 대해 알지 못했다. 이번 기회에 부족한 CS 지식 - 뮤텍스, 세마포어 등에 대해서 정리..

OAuth2의 4가지 프로토콜

OAuth2 프로토콜에서는 다양한 클라이언트 환경에 적합하도록 권한 부여 방식에 따른 프로토콜을 4가지 종류로 구분하여 제공하고 있습니다. ​ ​ 1. Authorization Code Grant │ 권한 부여 승인 코드 방식 ​ 권한 부여 승인을 위해 자체 생성한 Authorization Code를 전달하는 방식으로 많이 쓰이고 기본이 되는 방식입니다. 간편 로그인 기능에서 사용되는 방식으로 클라이언트가 사용자를 대신하여 특정 자원에 접근을 요청할 때 사용되는 방식입니다. 보통 타사의 클라이언트에게 보호된 자원을 제공하기 위한 인증에 사용됩니다. Refresh Token의 사용이 가능한 방식입니다. ​ [그림 1] Authorization Grant: Authorization Code 권한 부여 승인 ..

Web Dev 2024.02.22

[TroubleShooting] docker에서 nGrinder 삽질기

문제를 겪은 상황 아래와 같이 1 controller에 10 agent를 붙여 docker로 대용량 부하 테스트를 진행하고 싶었다. 근데 나를 좌절시킨 것은.. nGrinder 테스트를 날리는데 계쏙 ConnectException이 뜬다는 것이다. 100개의 테스트를 날렸는데 아래와 같이 로그를 살펴보니 100개 모두가 error 처리가 되었다. groovy 코드가 문제인 걸까.. 나의 nGrinder 설정의 문제였을까.. 한참을 고민하다가 docker구나! 를 깨달았다. 그 이유는 컨테이너에서 돌아간다는 것, 즉, container에서 test code로 localhost에 통신을 보내면 내 컴퓨터(mac m1, local)가 받는 것이 아니라 container 자신이 받는다. (이 부분에서 부끄러움을..

카테고리 없음 2024.02.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