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act를 실행해보면서 느끼고 이해한 점을 주저리 나열하여 정리해보았습니다.
- JSX에서 만드는 함수는 return 문에서 HTML 태그처럼 사용되어 위치가 반환된다.
- JSX는 HTML 태그를 바로 사용할 수 있으며 {} 내부에 javascript 변수를 넣어 사용할 수 있다.
- react는 state의 변화가 일어나면 전체적으로 렌더링이 다시 된다. 이와 달리 JQuery와 같은 라이브러리는 화면의 어떤 값을 변경할 때 DOM의 정보를 바꾸는 식으로 처리된다.
- const [변수, 함수] = useState(초기값);
- 함수를 통해 변수를 변경하며 변수는 `const` 상수이므로 `++`, `--`와 같은 증감연산자를 사용할 수 없다. 이를 통해 react는 실제 값이 변경되는 것이 아니라 화면단에서만 값이 변경됨을 알 수 있다.
- component 안에 component가 존재할 수 있다. 각 component는 각 상태를 독립적으로 관리한다.(state) App 내부에 let과 같은 지역변수는 렌더링되면서 초기화되지만 하위 component들의 state는 유지되는 것이 특징이라고 볼 수 있다.
- React, JSX에서 태그는 제어요소와 비제어요소로 나뉜다.
- 제어요소 : button
- 비제어요소 : input
- 비제어요소도 value를 넣어 고정시키면 제어 요소가 된다.
- react에는 defaultValue을 이용해 비제어요소 상태로 기본 값을 input 태그에 넣을 수 있다.
궁금증
1. var let const 차이
2. await 란 무엇인가?
'Web Dev > View' 카테고리의 다른 글
[WEB] Thymeleaf 정리 노트 (0) | 2023.03.24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