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Ubuntu의 새계정을 만드는 법을 정리해보려 한다.
새로운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기존 집에서 사용하는 서버에 모두가 접속할 수 있도록 세팅할 겸 새로운 계정을 생성하려는 목적이다.
Root 계정 초기 비밀번호 설정
우분투 실행 후 root 계정의 비밀번호를 초기화하지 않았다면 최초에 설정할 수 있다.
sudo passwd root
root 계정 사용해보기
먼저 새 계정을 사용하기 위해 root 계정으로 넘어가려 한다. 명령어는 다음과 같다.
su root
or
su -
root 권한으로 실행하려면 sudo를 붙여 실행해도 되지만 root 계정으로 이동하여 세팅을 해주려한다.
위 명령어를 치면 사용자 암호를 입력하여 root로 들어갈 수 있다. 루트로 접속하게 되면 터미널에 $표시가 아니라 #으로 변하게 된다.
Root 계정에서 user 추가하기
useradd [유저 이름]
위의 명령어로 user를 추가할 수 있다.
새로운 계정이 만들어졌다!
Root 계정에서 새로 만든 User 비밀번호 설정하기
passwd [유저 이름]
위 명령어를 사용하면 다음과 같이 비밀번호를 설정할 수 있다.
아직 만든 계정의 홈 디렉토리가 만들어지지 않았으므로 만들어주자!
새로 생긴 User 홈 디렉토리 만들어주기
cd /home/[유저 이름]
위처럼 홈 디렉토리로 접근했을 때 아직 아무런 디렉토리가 없다고 뜨기 때문에 루트로 가서 디렉토리를 만들어주자.
cd ~
mkdir -p /home/[유저 이름]
만들고 나서 아래처럼 home에 생긴 디렉토리를 보면 아직 새로생긴 유저가 디렉토리에 대한 권한이 없는 것을 알 수 있다.
새로 생긴 유저에게 홈 디렉토리 권한 설정하기
chown -R [유저 이름]:[유저 이름] /home/[유저 이름]
위 명령어로 홈 디렉토리의 권한을 주었다. 아래처럼 보면 권한이 변경된 것을 알 수 있다.
새로 생긴 유저 그룹 지정
이번엔 그룹을 지정해보자.
groupadd [그룹명]
usermod -G [그룹명] [유저 이름]
위와 같이 설정하며 ㄴ된다.
새로 생긴 유저가 사용할 쉘 변경: dash 쉘 -> bash 쉘
이 부분은 자유다.
새로 만든 계정 접속해보기
su - [유저 이름]
root로 다시 이동하는 방법은 맨위를 다시 보자!
정리
참고로 useradd 명령어말고 adduser라는 명령어도 있는데 이는 모든 정보를 한번에 받아 만들고 홈디렉토리까지 한번에 설정해줄 수 있다.
'Infra > Linux-Ubuntu' 카테고리의 다른 글
[Docker] PostgreSQL 설치 실행 (0) | 2024.02.27 |
---|---|
[OS/Ubuntu22] Docker 환경 세팅 (0) | 2024.02.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