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eb Dev

AWS EC2 Redis 세팅 해보기

DuL2 2022. 8. 4. 17:53

EC2 Redis 설치!

Redis를 통하여 JWT Refresh Token 저장하고 사용해보기 위하여 EC2에 Redis를 세팅해보려고 한다.

 

하다보니 설치부터 난항이라 정리 겸 글을 작성해본다.

 

apt 업데이트

설치를 위해 ec2 apt 패키지 인스톨러를 업데이트한다

sudo apt-get update

sudo apt-get upgrade

Redis 설치

자동 설치!

sudo apt-get install redis-server

 

Redis 버전 확인

redis-server —-version

 

Redis 에서 사용할 메모리 설정! EC2 stat 보기 

다음 코드를 치면 그림처럼 EC2 서버의 메모리와 다른 정보들이 보인다.

내 EC2 프리티어 서버는 1GB 메모리를 가진다.

vmstat -s

메모리 설정하기

redis의 설정파일에 접근하여 값을 바꿔줘야한다.

sudo vim /etc/redis/redis.conf

540 번째 줄쯤 가면 다음과 같이 Memory Management 라는 항목이 보입니다.

빠르게 찾고자 하신다면
vim 기준 `/찾을단어` 를 입력하시고 `n`키를 누르시면 찾으면서 next 단어로 이동합니다.

 

Ctrl + C를 눌러 검색 빠져나오기
a나 i를 눌러 수정 모드 들어가기

 

다음과 같이 주석 풀고 300mb 사용하도록 변경

memory policy 도 변경해야 한다.

597번 Line(버전마다 위치는 상이하다.)은 LRU 알고리즘(제일 오랫동안 사용하지 않은 데이터를 제거하는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키를 삭제하는 정책을 변경하도록 설정한다.

외부 접속을 원한다면 다음 69 번째 줄의 bind ip를 0.0.0.0 으로 변경해주면 된다. 본인은 내부에서 spring과 함께 사용하므로 냅뒀음.

 

저장하고 종료하기 

esc를 눌러 수정 모드를 종료하고 `:wq` 를 입력하고 enter를 누르면 저장하고 vim모드가 종료된다.

 

netstat을 통해 6379 포트에서  redis가 Listen 중인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Redis Tools 설치

sudo apt-get install redis-tools

Redis-cli 접속하여 핑퐁하기~

본인은 비밀번호 설정을 안했으므로 빼고 명령어를 입력하면 redis-cli 를 이용해 로컬 redis에 접속할 수 있다.

Ping을 입력하면 redis에서 pong으로 받아주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redis-cli -h <접속할 서버 프라이빗ip> -p <설정 포트> -a <비밀번호>

이렇게 Redis는 세팅이 끝났다.

AWS 보안 그룹 인바운드 규칙 설정

사용하기 위해 6379 포트를 열어주고 Spring 프로젝트를 통해 테스트 해보자.

 

 

 

'Web Dev' 카테고리의 다른 글

[Github] 개발자 Github Profile 정리 팁  (0) 2022.10.25
서버 Elasticsearch 설치 테스트  (0) 2022.09.05
러버덕 디버깅 이야기  (0) 2022.08.17
Springfox-Swagger2 사용해보기  (0) 2022.07.29
객체지향처럼 생각하기  (0) 2022.07.21